반응형 자영업_세무39 1인 미디어사업자 사업자등록과 세무에 대한 A to Z 이제는 과거 사업구분과 달리 새로운 사업 아이템과 새로운 채널이 많이 생기고 있다. 새로운 사업 영역의 출현으로 법적인 부분이 뒤따라 가는 경우가 이제는 많이 생기고 있다. 법에서는 '신종직업'이라고 설명을 하고 있지만 이미 이 쪽 관련된 업을 통하지 않고서는 생활이 불가능해지는 시대가 오고 있다. 어쩌면 이미 누구나 한번 꿈꿔보는 영역일 수도 있다. 나도 한 번 해 볼까 하고 말이다. 블로거, 유튜버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상거래 부분의 수익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온라인 채널을 운영하면 꼭 알아야 하는 세무 규정이 있다. 이 분야도 자영업 사장님에 해당하니까 사업자등록도 잘하고, 법적인 부분도 확실하게 알고 진행해야 하겠다. 1인 미디어(미디어 채널은 하나지만 여럿이 하는 회사 형태도 있다) 도.. 2025. 3. 26. 자영업 사장님이 알아야 할 부가가치세 자영업체 수익을 '매출-원가(재료,인건비 등 모두 포함)'가 이익으로 알고 시작했으면 왜 돈이 남지 않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막상 자영업체를 운영해 보면 생각보다 때마다 납부해야 하는 세금이 많다. 그런 세금들을 하나씩 알아보려고 한다. 예전에는 식당 메뉴판 가격에는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래서 계산할 때 간혹 시비가 있었다. 왜 메뉴판 금액보다 더 내야 하냐고. 그 당시는 'VAT별도' 라는 문구가 메뉴판 하단에 적혀 있었다. 업장에서 근무할 때를 기억하면 부가가치세를 모르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다. 고객게시판에도 부가가치세를 왜 받냐는 항의성 글이 꽤 자주 올라왔던 기억이 난다. 결국 나중에 법으로 부가가치세를 포함해서 표기하라고 규정되었다. 순간적으로 기업이나 고객에게.. 2025. 3. 25. 자영업 사장님이 알아야 할 사업자등록증 발급 A to Z 이번에는 새롭게 자영업 사장님이 되려고 준비하시는 분들이나, 이미 자영업체를 운영하고 있지만 세무적인 지식을 알고 업체를 더 잘 운영하고 싶으신 분들이 보면 좋을 것 같다. 사업자등록증에 관한 글들은 창업, 세무 관련 책이나 국세청 들어가서 보면 되는 지식들이지만, 이렇게 한 번 정리해 보면서 필자도 공부를 하려고 한다. 아무리 수업을 들어도 잘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한 번 학생들을 앞에 두고 강의를 하면 잊히지 않는 거니까. 실제로 자영업체를 오래 운영해도 세무적인 부분을 이론적으로 잘 모를 수 있다. 필자는 그랬다. 다시 새로운 것을 하려다 보니 이제는 정리하고 가야 하는 시점이다. 1. 사업자 등록 안내 ■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는 사업자등록을 하여야 한다. - .. 2025. 3. 23. 이전 1 ··· 4 5 6 7 다음 728x90 반응형